8퍼센트에 매달 2, 4주 수요일에 무작위로 4명을 묶어서 함께 식사를 강제(?)하는 문화가 생겼다. 우리는 이를 "특별한 점심"이라고 부른다.
지난달 진성광 님의 세미나가 인연이 되어 우아한 형제들 김범준 CTO를 만나 뵙고 왔다. 여러 가지 좋은 이야기들을 해주셨는데 그중“팀 간 정보 공유를 어떤 식으로 하나요?"라는 나의 질문에 대한 답변 중 하나가 "랜덤 점심" 이었다. 그 이야기를 듣고 8퍼센트에 도입해 봐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광화문으로 이사를 하고 나니 바로 지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8퍼센트에는 지난 6개월 동안 10명이 넘는 사람이 입사해서 이제 전우가 25명이 넘었다. 그에 따라 그전과 비교해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첫 번째로 업무에 대한 이해의 단위가 개인에서 팀으로 바뀌게 되었다. 다시 말해 10명 정도에서는 각각의 사람이 무엇을 하는지 알았다면, 이제는 개인이 무엇을 하는지 알기는 어렵고 팀 단위로 어떤 일을 하는지만 알게 된다. 이제 내가 어떤 일을 해결해야 할 때 적당한 컨택 포인트를 찾기가 힘들어진다.
두 번째로 제품을 만드는 사람과 고객 사이의 거리가 멀어졌다. 개발팀의 기준으로 보면 내가 지금 만들고 있는 기능이 실제로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주는지를 알기 힘들어진다.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 반대로 고객을 담당하시는 분들 기준에서 보면 개발팀이 뭔가 바쁜 것 같기는 한데 고객들이 원하는 기능들은 제때 구현이 되지 않으니 답답한 마음이 든다.
...스타트업 대표가 돈을 구해와야 하는 이유 (0) | 2020.02.27 |
---|---|
비트맵 방식과 벡터 방식 (0) | 2020.02.26 |
공간이 변하면 생각이 변한다 (0) | 2020.02.25 |
최진 이야기 (0) | 2020.02.25 |
160317_페이스북 포스팅 복기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