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학교 #꼬꼬마 #마케터 #창업일기 #조교일기
"H님은 사실, 사람을 엄청 좋아하는데, 좋아하는 사람들로부터 받은 상처들이 많아서 마음 열기 무서워하는 것 같아요."
내 말 한 마디에 그 분의 눈에는 금세 눈물이 핑 돌았다. 왜 그런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사실 그게 나를 착즙하듯 쥐어짜는 회사 생활과 나의 일상 중에서 '애써 잊어 왔던' 자신의 모습인데.
1
퇴사학교라 하면, "오늘 회사가기 싫다" "그냥 다 짜증나니, 회사 때려치우고 싶다." 뭐 이런 식의 가벼운 마음으로 온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나 있다. 혹은 '퇴사'를 가지고 장난질한다는 헐뜯기도 있었다.
2
공동창업자로서 처음부터 1년 넘게 퇴사학교라는 커뮤니티를 만들어가며,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퇴사학교는 그런 곳이 아니다. 퇴사를 권장하고, 멋대로 살라고 하는 무책임한 곳은 더더욱 아니다. 장난질하기 위해, 사람을 그저 자원이니, 소모품이니, 돈이니 뭐 이런 시각으로 보는, 무책임한 곳은 더더더욱 아니다.
3
사회의 정답, 주변 사람의 기대들을 나의 가치라고 생각해오며 정말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살아왔건만 "무엇을 위해 이렇게 살아야 할까." 퇴근길 지하철에서 이게 인생의 전부인가, 공허함, 허무함이 몰려오는 순간.
내가 좋아하는 것, 하고 싶은 것, 일하는 이유조차 생각해보지 못한 채 그저 조급한 마음에 내달려왔지만, 열심히 달릴수록 정작 갈 길을 잃고 무슨 일을 해야 할 지 인생의 방향조차 잡지 못하는 순간.
그저 '나'라는 모습 있는 그대로 행복하게 살고 싶을뿐인데, 의미없는 숫자놀음, 사람이 사람을 사람으로서 존중하지 못하는 비상식적 환경, 언제든 대체가능할 것만 같은 '자원', '부품'으로서의 삶이 허무한 순간.
그 속에서 대체 나는 무엇을 위해 삶을 살며, 이 일을 해야 하는 것인지. 삶의 이유를 찾고자, 사람들은 퇴사학교라는 곳을 찾는다. 그저 아주 조금만이라도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은 소망, 그리고 지금보다 조금만 더 행복하게 일하고, 가치있게 내 삶을 주체적으로 살고 싶은 작은 불씨를 가지고.
...[마케터]실험정신 (0) | 2020.02.24 |
---|---|
[마케터]서비스 실험 진행 (0) | 2020.02.23 |
[마케터]창업일기 (0) | 2020.02.23 |
초보 창업가의 교훈 (0) | 2020.02.22 |
"사업할 때 제일 힘든 게 뭐에요?" (0) | 202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