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OS Passbook의 signpass 분석

커리어피드 정보

by 더팀스 2020. 3. 10. 12:01

본문

스포카에서 발행한 iOS Passbook의 signpass 분석


iOS 6에서 새로 추가된 Passbook은 여러 장의 디지털 티켓, 쿠폰, 매장 카드를 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Passbook 안에 들어가는 티켓, 쿠폰, 매장 카드들을 Pass라고 부릅니다. Pass는 기존 앱보다 손쉽게 개발, 배포할 수 있으며, 위치나 시간에 따라 최적의 사용 시간에 맞춰 알림을 주기 때문에 더 높은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선 Pass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signpass의 소스코드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ignpass는 애플이 Pass 개발에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한 툴킷으로, 형식에 맞춰 개발된 Pass 디렉터리를 인증서와 함께 하나의 파일(*.pkpass)로 묶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Xcode Project 형태로 소스코드와 함께 Passbook Materials에 포함되어있습니다. Passbook Materials는 애플 개발자 계정이 있으면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signpass가 하는 일은 Pass를 만들어서 배포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많은 Pass 배포환경이 리눅스 운영체제 위에 각자 고유의 서버 시스템 위에 구축될 것이므로, 해당 커맨드 라인 툴을 그대로 이용하기보단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 맞춰서 새로 구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행히 signpass가 하는 일은 간단하며, 애플도 signpass를 주석이 포함된 소스코드 형태로 배포하였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signpass를 분석해야 할 분들에게 더욱 편하게 처리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signpass는 크게 3가지 일을 수행합니다.

signpass에는 이 외에도 validation 기능과 몇 가지 커맨드 라인 처리 기능이 포함되어있지만, pkpass를 만드는 과정만 보고 싶으시다면 PassSigner.m 의 +(void)signPassWithURL:(NSURL *)passURL certSuffix:(NSString*)certSuffix outputURL:(NSURL *)outputURL zip:(BOOL)zip 메서드만 참조하시는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형식에 맞춰 제작된 *.pass 디렉터리의 파일을 훑으면서 json 형태로 저장합니다. key는 파일이름, value는 파일 내용에 대한 SHA1 해싱이 들어가며 ([fileData SHA1HashString]), 완성된 json 파일은 보통 아래와 같은 내용을 하게 됩니다.

manifest.json 파일을 애플에서 받은 Pass 인증서를 이용해 인코딩합니다. (CMSEncodeContent()) 인증서를 통해 manifest를 인코딩함으로써, 쿠폰 발급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임의로 Pass를 편집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인코딩된 파일은 signature라는 이름의 파일로 Pass의 Top-level 디렉터리에 manifest.json과 함께 저장합니다.

CMSEncodeContent는 PKCS #7 기반의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RFC 3852 표준으로, 해당하는 과정을 다른 플랫폼에 포팅할 때 표준 문서와 애플 인증서 형태를 함께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더 읽어보러 가기

직군 정보
iOS

기업 문화 정보


기술 스택 정보

더 많은 내용은 더팀스에서 확인하세요!

관련글 더보기